근무성적평정제도에 대한 논의
최고관리자
기타
0
51
2019.06.07 18:12
↑↑↑ 링크 클릭 제 1 장 서론
제 2 장 근무성적 평정
제 1 절 근무성적 평정의 의의
제 2 절 근무성적 평정의 목적
1. 인사행정의 기준 제공
2. 공무원의 능력 발전
3. 공무원의 근무 능률 향상 및 의사 전달 개선
4. 시험의 타당도 측정 기준 제공
제 3 절 근무성적 평정의 방법
1. 방법에 따른 평정의 방법
2. 평정자에 따른 평정의 방법
제 4 절 근무성적 평정제도의 운영
1. 평정자의 선정
2. 평정요소의 선정
3. 평정시기
4. 평정장소
5. 평정결과의 공개와 소청
6. 기타 근무성적 평정제도에 관한 내용
제 5 절 평정상의 일반적 주의사항
1. 헤일로우 효과
2. 논리적 오류
3. 관대화 또는 엄격화
4. 집중화 경향
5. 선입견
제 3 장 경력평정
제 1 절 경력평정의 의의
제 2 절 경력평정상의 가설
제 3 절 경력평정 실시항의 문제점
제 4 절 경력평정제도의 운영
1. 평정의 목적
2. 피평정자와 평정자
3. 경력평정 대상의 종류(경력의 종류)
4. 평정시기
5. 평정방법
6. 평정결과 공개
제 4 장 기타평정
제 1 절 훈련성적 평정
1. 훈련성적 평정의 의의
2. 훈련성적 평정의 내용
제 2 절 가점평정
1. 가점평정의 의의
2. 가점평정의 내용
3. 가점평정의 종류
제 5 장 사기업의 평정제도
제 1 절 삼성전자의 평정제도
1. 신상필벌 인사원칙
2. 정교한 인사시스템
3. 최근(2001년 이후) 삼성전자의 평정제도
4. 변화 전 삼성전자의 평정제도
5. 2001년 전후 삼성전자의 평정제도의 비교
제 2 절 메디슨의 평정제도
1. 벤처기업의 평정제도
2. 메디슨
3. 메디슨의 인사관리
4. 평정방법
5. 평가기법
6. 평가내용
제 6 장 우리 나라 공무원 평정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제 1 절 우리 나라 공무원 평정제도의 문제점
1. 객관성과 공정성의 문제
2. 타당성과 신뢰문제
3. 유용성 문제
제 2 절 우리 나라 공무원 평정제도의 개선방안
1. 업무확대 분야에 대한 활용
2. 직위분류제 도입
3. 근무성적 평정의 과학화
4. 근무성적 평정에 대한 공무원 의식 개혁
제 3 절 일반적 공무원 평정제도의 개선방안
1. 처우중심에서 다목적 평정제도로
2. 평정제도와 보상체의 연계강화
3. 획일적 평정제도에서 목적별 평정제도로
4. 일방적 평정제도에서 쌍방적 평정제도로
5. 제도적 측면에서 운영적 측면으로
6. 인사부서 중심에서 현장중심으로
제 4 절 다면평가제
1. 다면평가제의 의의
2. 다면평가제의 도입배경
3. 다면평가제의 기대효과
4. 다면평가의 적용대상 및 운영기준
5. 평가내용 설계방법
6. 평가분석 및 활용
7. 다면평가제의 효율적 운용방안
제 7 잘 결론
FileSize : 78K
레포트, 기타